정조(4)
-
(1796년)수원 화성 완성;정조와 정약용,화성을 축조한 이유,거중기,녹로,화성축조,수원화성 특징,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등재.
정조대왕은 자신의 부친인 장헌세자의 묘를 옮기면서 읍치소를 이전하고 백성들도 이주시킬 수 있는 신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수원에 화성을 조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1794년 2월부터 착공하여 2년 반에 걸친 공사 후 완공되었는데, 성곽전체 길이는 5.74km이고 높이는 4~6m의 성벽으로써 130ha의 면적을 에워사고 있다. 기록과는 다르게 여러 사견에 의하면,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노론세력들 대부분이 한양 4대문 안에 살면서 많은 권리과 기득권을 누리다보니 역대 왕들이 이들에 대한 견제를 제대로 못하였던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한양 인근에 신도시를 하나 만들어서 집권세력들에게 집중된 권리들을 분사시켜 왕권강화를 노리고 계획한 것도 있으리라. 조선시대는 당최 전쟁과는 먼 나라였다. 당시 청나라는 건륭제 이래..
2024.05.30 -
(1791년)신해통공 실시;정조의 소상공인 보호정책,시전상인,난전,육의전,노론,금난전권,자유로운 경제활동으로 지역활성화에 기여.
이 당시 조선 상인사회는 시전과 난전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시전은 조선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상점이고, 난전은 허가를 받지 못한 상인이나 상점을 뜻한다. 이렇다보니 정부로부터 판매독점권을 허가받은 시전상인들은 권한을 악용해 물건을 헐값에 매점매석은 기본이고 난전을 불법상행위를 이유로 형조 및 한성부로 끌고가는 횡포도 서슴치 않았다. 시전상인들에겐 '금난전권'이 있었다. 말그대로 난전을 금하는 권리이다. 소상인들은 물건을 팔거나 구입하려면 반드시 시전상인에게 넘겨야 하고 또 받아가야 한다. 오로지 시전상인들을 통해서만 유통이 될 수 있었다. 그들이 이상하게 가격을 책정하여도 어쩔 수 없었고, 만약 거부하면 처벌을 받게 된다. 조정으로부터 특권이 부여된 시전이 있었는데, 비단, 명주, 무명, 모시, 종이, ..
2024.05.28 -
[1776년]정조 즉위; 조선후기 정치문화의 중흥시대 탄생! 규장각,외규장각,초계문신제도 등.
정조는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지능과 학업을 보였을 정도로 똘똘하였고, 할아버지 영조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하지만 자신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은 정조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통치기간 동안 여러 결정에 그 영향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영조와 정조는 모두 붕당정치의 폐단 속에서 왕위에 올랐다. 때문에 둘 다 붕당싸움을 다스리는데 힘 쓴 왕들이라고 할 수 있다. 영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경종이 소론이 우위인 상황에서 정치를 다스렸고, 갑자기 경종이 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이복동생 연잉군(영조)이 왕을 독살했다는 소문이 퍼지자 맘고생이 많았다. 이때 노론이 연잉군을 지지하며 연잉군이 왕위에 오르게 된다. 이렇게 왕이 된 영조는 본격적으로 '탕평책'을 내세우며 ..
2024.05.07 -
(1725년)영조의 탕평책;을사환국을 계기로 소론에서 노론으로 물갈이하고, 탕평책을 펴서 차별을 없애다. 임인옥사,을사처분,탕평채,탕평비,탕탕평평실,노론소론,붕당.
영조가 왕위에 올라 즉위한지 1년차. 정국은 경종때부터 여전히 소론이 주도하고 있었다. 경종때에 겪었던 신임옥사로 화를 입었던 노론들은 영조가 즉위하자 자신들에게 기회가 왔다고 여겼다. 영조는 경종의 뒤를 이어 삼정승에 소론들로 구성하였다. 그런 한편, 노론의 영수격인 민진원을 특별히 석방하였다. 이것은 노론의 재진출을 위한 포석이기도 했다. 경종 국상 직후 1724년 11월, 이의연이 상소를 올리면서 소론에 대한 노론의 공격이 시작되고, 이후 이봉명을 비롯해 노론 인사들의 소론에 대한 공격상소가 계속된다. 영조는 일단 소론의 요구를 들어주는 척 이의현을 절도에 멀리 귀양보내고 소론을 대표하는 인물 김일경도 삭직하였다. 이의연과 김일경을 같이 처벌한 것은 영조가 탕평을 취하기 위한 정치운영술인 양치양해를..
202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