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4)
-
베트남전(월남전)으로 인한 한국군의 피해 그리고 한국군의 만행, 그 진실은?; 파월한국군,탈출,베트남 민간인 학살,고엽제 그리고 보상체계 등.
1973년 한국군까지 모두 철수하고, 그 후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점령하여 베트남은 통일되었고 베트남전은 비로소 막을 내렸다. 베트남전에 참가했던 동맹국 중에서는 단연 한국군이 가장 용맹하였고 가장 잘 싸웠다고 한다. 하지만 그에따른 피해와 희생도 만만치 않았고 또 동맹국 중 가장 많은 병력이 동원되었던 만큼 그 중 소수로 인한 만행도 없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이야기를 할 때는 그 당시의 상황과 연유를 잘 살펴야 한다. 무엇이든 다 이유가 있을 테니까...우리 참전용사들이 입은 피해는 상당히 엄청났다. 참전용사 대략 32만5천여명. 이 중 사망자 5066명 / 부상자 11232명 / 고엽제 피해자 7만948명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자 10만여명,,, 이 외에도 알려지지 않은 피해도 상당할 ..
2025.01.30 -
(1973년)한국군의 베트남전 전면 철수; 베트남전이 우리나라에 가져다 준 이익과 박정희의 3선개헌 및 유신. 닉슨 독트린, 파리 평화협정, 베트남 통일 등.
미국은 남베트남 정부를 지원하고, 남베트남은 미국의 물적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나 남베트남은 부패와 불안한 정국으로 국민들의 지지를 잃어가는 상황이었다. 이에 미국은 통킹만 사건을 핑계로 베트남에 대한 군사개입을 시작하였고, 결국 미국에 의한 베트남전쟁 참전의 명분이 된다. 한국도 결국 베트남전에 참전한다. https://himstory.tistory.com/736(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아래 클릭!!) (1964년)베트남으로 간 한국군 ; 경제지원이 절실했던 박정희 그리고 '브라운 각서'.전 편에서 베트남전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이 벌인 본격적인 냉전대결이었음을 설명하였다. 베트남전은 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으며, 한국군 최초 파himstory.tistory.co..
2025.01.30 -
(1964년)베트남으로 간 한국군 ; 경제지원이 절실했던 박정희 그리고 '브라운 각서'.
전 편에서 베트남전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이 벌인 본격적인 냉전대결이었음을 설명하였다. 베트남전은 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으며, 한국군 최초 파병이라는 우리나라 현대사에도 매우 의미있는 사건이였다. 아래는 베트남전 발생배경과 국제정세를 간단히 살펴볼 수 있는 링크다. 궁금하면 클릭!https://himstory.tistory.com/735 (클릭!) (1955년~)베트남전쟁 발발;베트남전 배경 그리고 호치민 '비엣민' 조직. 도미노이론, 베트콩, 미라베트남전쟁은 남북 베트남 간의 대립과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19세기 후반까지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베트남. 프랑스는 당시 베트남의 민족주의 운동을 탄압하였고 베트남인들himstory.tistory.com ..
2025.01.25 -
(1955년~)베트남전쟁 발발;베트남전 배경 그리고 호치민 '비엣민' 조직. 도미노이론, 베트콩, 미라이학살 등. 식민지에서 민족주의 국가로 ~
베트남전쟁은 남북 베트남 간의 대립과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19세기 후반까지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베트남. 프랑스는 당시 베트남의 민족주의 운동을 탄압하였고 베트남인들의 저항도 꾸준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이 이러한 강대국들로부터 아시아권 국가인 베트남을 해방시키겠다고 무작정 쳐들어가 점령해버린다. 해방은 개구라였지... 그냥 점령한 것이다. 이렇게 일본이 베트남을 점령하자 베트남 민족주의 운동은 프랑스와 일본에 맞서는 형태로 강화된다. 이 시기에 호치민이 이끈 베트남 독립동맹 '비엣민'이 조직되었다.1945년8월 일본이 패망하자, 호치민은 이때다 싶어 하노이에서 베트남민주공화국으로 독립을 선포한다. 그러나 아직 남아있는 강대국 프랑스는 베트남을 다시 식민지로 복귀시키려 하였다. ..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