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2)
-
(1953년)6*25전쟁의 정전협정 체결;전쟁참여 결의로 무장한 100만명의 아쉬움. 스탈린사망 후 소련의 휴전협상 타결 지시.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등.
1945년8월10일 미군에 의해 일본이 항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은 종식되고 8월15일 한반도는 일제치하에서 해방되었다. 그 뒤 북위38도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소련군이 그리고 남쪽은 미군이 신탁통치를 하게 된다. 광복 이후, 자주독립 통일국가에 대한 염원은 남한에 대한민국정부, 북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남한과 북한의 사상대립이 일어나 좌절되었고 분단은 그대로 고착상태에 돌입한다. 결국 1950년6월25일 새벽, 북한은 기습적으로 남침하여 남북전쟁이 일어나고 뻔뻔하게도 북한은 오전 11시에 평양방송을 통해 '이승만 정권의 남조선 군대에 의해 북침'을 주장하며 은폐하려 하였다. 그러나 전쟁 후 소련*중국*북한이 사전모의를 통해 전쟁을 준비했다는 자료가 발표되며 북침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났지만..
2024.12.17 -
(1950년)6*25전쟁 발발;민주국가로 한반도 통일을 이룰 수 있었던 한국전쟁/아쉽게 된 한반도 통일 그리고 중공군 개입.
1950년에 발발한 6*25전쟁! 해외에는 '한국전쟁'으로 알려졌으며, 1950년6월25~1953년7월27일까지 일어난 한반도 남북전쟁이다. 전쟁의 원인은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당시 남한과 북한 간의 갈등을 배경으로 정치적 이념차이도 있었고 주변 강대국의 이해관계도 얽혀있으며, 이런 한반도 고유의 상황과 점차 미*중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세계적인 이념갈등으로 확대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일본 패망 후,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점령 곧 신탁통치를 받게 된다. 남한과 북한은 각각 자신들을 통치했던 미국과 소련의 사상을 고스란히 받게 되었고, 이것은 점차 남북간의 이념차이를 심화시키는 계기가 된다. 그리하여 각각 수립된 정부는 서로를 정통 정부로 인정하지 않았다. 전 세계가 냉전시대로 접..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