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회(2)
-
(1911년)105인 사건;안악사건,독립운동,독립운동가,일제침략,경찰국가,독립운동가 탄압,데라우치총독,신민회.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인해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고, 일본은 한국을 완전히 장악하고 통제하기 위해 강력한 경찰국가 체제를 구축한다. 이에 대항하여 한국의 독립운동은 점차 지하로 숨어들며 조직화되었고, 독립운동가들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일본에 저항하였다. 1910년 12월, 평양 인근 안악군에서 조선총독부 초대 총독 데라우치 총독의 암살 미수사건을 빌미로 일본경찰들이 독립운동가들을 대거 체포하였고(대략 600명), 잡혀간 자들은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허위자백을 하거나 모진 고문속에 죽임을 당하였다. 1911년엔 안중근의 동생 안명근과 김구, 이갑 등을 포함해서 105명의 독립운동가를 체포한다. 일본은 페초된 독립운동가들에게 허위자백을 강요하고 조작된 증거를 만들어냈으며, 조선총독부에..
2024.08.03 -
(1907년)국채보상운동;대구 기념공원, 고종황제 강제퇴위되고 순종즉위, 한일신협약, 신민회,한일합방,영친왕,군대해산,동양척식주식회사,국권피탈 등.
1904년 러일전쟁이후 일본은 대한제국의 경제적 예속을 심화시키기 위해 막대한 외채를 빌려주었다. 고리대금과 불평등 조약을 통해 경제적 지배력을 강화하고 대한제국의 경제적 자립을 저해하였다. 일본으로부터 빌린 외채가 늘어나면서 대한제국은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고, 이런 상황에서 국민들은 경제적 자주권을 회복하기 위해 외채를 갚고자 하는 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1907년 2월, 대구에서 서상돈과 김광제 등 유학자들이 국채보상운동을 제안한다. "금연과 금주를 통해 절약한 돈으로 국채를 갚자!"는 구호를 내걸고 전국적으로 모금운동을 전개하였다. 대구에서 먼저 시작되고 서울, 평양, 부산 등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으며 각계각층 사람들이 참여하였다. 또 당시 신문사였던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제국신문 등이 국채보..
202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