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공산당(2)
-
(1926년)대한제국 순종황제 사망~'6·10만세운동', 정우회 선언, 조선 민흥회 창립;순종의 사망은 다시 독립의지를 불태우고 전국 만세시위로 이어지다. 신간회가 창립되어 좌파와 우파가 합작으로 독립전선을 구축하다.
1926년 4월 25일,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이 사망한다. 순종의 장례식은 민족의 일제에 대한 저항의 기회를 제공했으며, 이로 인해 6*10만세운동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6*10만세운동은 조선3대독립운동으로써, 순종 장례일을 기해 만세시위로 일어난 학생중심 민족독립운동이다.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에 사회*정치적 이념차이를 초월해서 민족주의성향 학생들과 사회주의성향 학생들이 연대해 일으켰으며, 순종황제의 인산일을 맞아 중앙*중동학교, 연희*보성전문 등 학생들이 제2의 3*1운동으로 민족의 독립의지를 내외에 과시하자는 뜻에서 장례 행렬을 따라 일으켰다. 이후 전국으로 확산되어 고창, 순창, 청주, 평양, 홍성, 공주, 울산, 군산, 전주, 하동, 당진, 강경 등으로 퍼졌으며, 시위와 동맹휴학 등을..
2024.09.01 -
(1925년)공산당 창당 그리고 마쓰야협정;최초 공산당 김재봉,김일성,박헌영/뿔뿔이 흩어진 독립운동가들.
1925년 4월 25일, 당시 공산주의 단체인 '화요회'와 일본유학생계의 '북풍회' 그리고 그 외 구성원 19명이 서울에서 [조선공산당]을 창당하였다. 당 조직은 책임비서에 김재봉, 조직부장 조동우, 선전부장 김참 등이였다. 원칙적으로 동일선상에서 늘 경쟁관계였던 그들이였지만 함께 좌파세력 확충에 힘쓰면서, 이미 민족주의자들의 각 종 기성단체에 침투하여 분할공작과 사상, 노동, 청년 등의 새로운 단체를 조직하는 방해를 벌였다. 이것을 결성하는 모체는 한국내 공산당 결성의 밀명을 받고 서울에 잠입한 김재봉이였다. 그는 1923년 6월 서울에 설치된 '코민테른(Communist international,공산주의 인터내셔널 또는 제3인터내셔널)의 책임자였다. 공산당을 결성하고 신문에 창당게시글을 올렸다. [조..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