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의 이야기(114)
-
이종무의 '대마도정벌';'독도'는 한국땅! '대마도'도 한국땅! 흔일강리역대국도지도,세종대왕,주원장,선제정벌,대마도주 등.
고려말에서 조선초기, 끄덕하면 왜구의 대한 침략이 일어나기에 매우 큰 근심거리가 아닐 수 없었다. 이에 세종대왕은 대규모 원정함대를 구성하고 왜구의 근거지라 할 수 있는 대마도를 정벌하기로 한다. 대마도는 부산에서 최단거리 49.6km이며 일본 후쿠오카에서 134km 떨어진 곳으로 일본보다는 우리나라에 가까운 일본 섬이다. 당시 배경을 살펴보면, 왜구가 조선뿐 아니라 명나라에도 간간히 침략을 일삼았는데, 이에 명나라의 홍무제는 왜구에 대한 방어책으로 해금정책을 시행하여 외국과의 교역 및 해외 도항을 금한다. 결국 약탈과 사무역에 의존한 쓰시마는 큰 타격을 입게 된다. 그리고 명나라 실권자였던 주원장은 이들 왜구세력이 반대파와 결탁할 것을 우려하여 조선에 건의를 한다. "우리가 병선 1만척을 내어 토벌에 ..
2023.12.29 -
(1394년)한양천도;서울이 조선의 수도가 되었던 배경. 무학대사와 이성계, 경복궁, 왕십리.
1392년 태조 이성계에 의해 조선이 건국되었다. 그리고 1394년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다. 처음 조선을 건국할 당시 기존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은 아직 이성계를 반대하는 전통세력의 기반이 강했다. 또한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려 했던 이성계는 유교이념을 기반으로 도읍을 옮기기로 결정하였는데, 기존 개경의 기운이 쇠하였으니 무학대사를 통해 알아본 지금의 도읍지(한양)가 최고의 명당이라고 주장하였다. 아무튼 도읍을 한양(서울)으로 옮기면서 기존 개성에서 자리잡고 있던 귀족들이 한양으로 넘어 오면서 개경의 기반은 약해지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왕권이 강화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군사적으로도 한양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여 있고 가운데 한강이 흐르고 있으며, 산이 있고 물이 풍족하다 보니 적을 방어하는데 유리하다고 판..
2023.12.25 -
(1401년)신문고(申聞鼓);최초 신문고,국민신문고,고발제도,국민청원제도,국민제안홈페이지.
현대엔 국민청원제도로써 '국민신문고'가 있다. 국민신문고는 상소, 고발 제도의 보완책으로써, 개인 및 단체가 직접 억울하거나 피해사실에 대한 사연을 고발하고 처리를 청원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국민신문고 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사실 한국 역사상 아주 오래전부터 '신문고'라는 제도가 법제화되어 시행되고 있었다. 신문고는 중국송나라에서 처음 시행했던 제도로써, 북을 백성이 두드리면 임금이 직접 억울한 사연을 접수하고 처리하도록 하였다. 조선시대 태종2년(1401년)에 송나라의 법을 본받아 특수청원 및 상소를 위하여 대궐 밖 다락집에 '신문고'라는 북을 달았다. 당시에도 법제화되어 있었는데 신문고는 여러 단계 이후 최후의 항고시설로써 임금 직속 의금부 당직청에서 주관하였고, 임금이 직접 듣고 처리하였다. ..
2023.12.20 -
(1400년)제2차 왕자의 난 - 이방원VS이방간,회안대군 이방간!결국 대장군 박포의 혀놀림에 놀아나 난을 일으키다.
1차 왕자의 난때 정도전이 이방원을 제거하려 한다고 밀고한 대장군 박포. 그는 이방원에게 있어서는 많은 공이 있었지만, 논공행상 과정에서 일등공신이 되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이 가득했다. 결국 박포는 이방원으로부터 등을 돌려 이방원을 쓰러뜨릴만한 세력을 물색한다. 그때 대권에 노골적으로 야욕을 보이는 이방간에게 접근하게 된다. 당시 이방원은 정도전이 추진하려 했던 병권집중운동을 이어받아 다른 왕자들의 사병을 혁파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는데, 박포는 이것을 두고 이방원이 이방간을 죽이려 한다고 오해하게 만든다. "정안공이 공을 보는 눈초리가 이상하니 반드시 방차 변이 일어날 것입니다. 공은 마땅히 선수를 쳐야 할 것입니다." 이방간은 정종에게 아뢰어 "정안공이 나를 해치고자 하므로, 제가 부득이 군..
2023.12.17 -
(1398년)제1차 왕자의 난 - 다른 형제들보다 출중하였으나 '서자'이기에 무시당하고... 결국 피를 보고 마는구나! 철혈군주 이방원.
조선건국의 이성계와 향처 한씨의 다섯번째 아들로 태어난 이방원. 그는 이성계의 자식들 중 유일하게 문과에 급제한 이력을 가졌으며, 다른 형제들에 비해 능력이 출중했다. 특히 '정치'분야에선 아버지 이성계보다 더 뛰어났다. 조선 건국의 1등 공신엔 이성계의 자식들도 모두 포함된다. 그런데 열덟번째 아들인 이방석이 왕세자가 되자 이방원의 분노는 극에 달한다. 게다가 조선건국의 1등공신인 정도전은 왕족과 귀족들의 사병들을 해체시키려 한다. 왕자들이 병사들마저 잃어버리며 결국 남아있는 힘마저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결국 이런 배경 속에서, [방석+정도전+남은VS이방원과 다른 형제들]의 구도로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난다. 이 시기에 이성계는 병환으로 드러누운 상태다. 이때 정도전은 어린 세자 이방석에게 위협..
2023.12.16 -
천자문 다운받기(PDF파일)
자녀 교육때문에 요즘 '천자문자료(파일)' 찾으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자료이기는 한데, 문제는 스타일이 번잡하고 거추장스런 자료보다는, 흰백의 수수하고 심플한 파일을 원한다는 것죠! 한자공부는 단조롭고 심플한 자료가 더 학습이 잘 된다고도 하네요. 암튼 도움이 되시라구 제가 자료 올려드립니다. 필요하신 분들 퍼가세요~! (↓↓↓천자문파일 다운로드↓↓↓) 자료는 PDF파일입니다. 스탈(style)은 아래와 같습니다. 오늘도 열심히 열~공하세요! ^^
2021.04.26